전이 학습 및 미세 조정
- 원본 링크 : https://keras.io/guides/transfer_learning/
- 최종 확인 : 2024-11-18
저자 : fchollet
생성일 : 2020/04/15
최종 편집일 : 2023/06/25
설명 : Keras의 전이 학습 및 미세 조정에 대한 완벽 가이드.
셋업
import numpy as np
import keras
from keras import layers
import tensorflow_datasets as tfds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소개
전이 학습(Transfer learning) 은 한 문제에서 학습된 특성을 새로운, 유사한 문제에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라쿤을 식별하는 모델에서 학습된 특성은 너구리(tanuki)를 식별하려는 모델을 시작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전이 학습은 보통 데이터셋이 부족하여, 처음부터 완전한 모델을 트레이닝하기 어려운 작업에 사용됩니다.
딥러닝에서 전이 학습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은 워크플로입니다:
- 이전에 트레이닝된 모델의 레이어를 가져옵니다.
- 그 레이어들을 동결(freeze)하여, 이후 트레이닝 라운드에서 해당 정보가 파괴되지 않도록 합니다.
- 동결된 레이어 위에 새로운 트레이닝 가능한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이 레이어들은 기존의 특징을 새로운 데이터셋에 대한 예측으로 변환하는 것을 학습합니다.
- 새로운 레이어들을 데이터셋에 맞게 트레이닝합니다.
마지막으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단계는 미세 조정(fine-tuning) 입니다. 이는 위에서 얻은 전체 모델(또는 그 일부)을 동결 해제(unfreeze)하고, 매우 낮은 학습률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다시 트레이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전 트레이닝된 특징을 새로운 데이터에 맞게 점진적으로 적응시켜 유의미한 개선을 이룰 수 있습니다.
먼저, 대부분의 전이 학습 및 미세 조정 워크플로를 기반으로 하는
Keras의 trainable
API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런 다음, ImageNet 데이터셋에서 사전 트레이닝된 모델을 가져와, Kaggle의 “cats vs dogs” 분류 데이터셋에서 다시 트레이닝하는 일반적인 워크플로를 시연하겠습니다.
이 내용은 Deep Learning with Python 및 2016년 블로그 게시물 “아주 적은 데이터로 강력한 이미지 분류 모델 만들기”에서 각색되었습니다.
레이어 동결: trainable
속성 이해하기
레이어 및 모델에는 세 가지 가중치 속성이 있습니다:
weights
는 레이어의 모든 가중치 변수를 포함한 리스트입니다.trainable_weights
는 트레이닝 중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사 하강법을 통해) 업데이트될 가중치들의 리스트입니다.non_trainable_weights
는 트레이닝되지 않도록 설정된 가중치들의 리스트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는 모델이 순방향 패스(forward pass)를 수행할 때 업데이트됩니다.
예시: Dense
레이어는 2개의 트레이닝 가능한 가중치(kernel 및 bias)를 가집니다.
layer = keras.layers.Dense(3)
layer.build((None, 4)) # 가중치 생성
print("weights:", len(layer.weights))
print("trainable_weights:", len(layer.trainable_weights))
print("non_trainable_weights:", len(layer.non_trainable_weights))
결과
weights: 2
trainable_weights: 2
non_trainable_weights: 0
일반적으로, 모든 가중치는 트레이닝 가능한 가중치입니다.
유일하게 빌트인 레이어 중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를 가진 레이어는 BatchNormalization
레이어입니다.
이 레이어는 트레이닝 중 입력의 평균과 분산을 추적하기 위해,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를 사용합니다.
커스텀 레이어에서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려면,
서브클래싱을 통해 새로운 레이어와 모델 만들기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예시: BatchNormalization
레이어는 2개의 트레이닝 가능한 가중치와 2개의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를 가집니다.
layer = keras.layers.BatchNormalization()
layer.build((None, 4)) # 가중치 생성
print("weights:", len(layer.weights))
print("trainable_weights:", len(layer.trainable_weights))
print("non_trainable_weights:", len(layer.non_trainable_weights))
결과
weights: 4
trainable_weights: 2
non_trainable_weights: 2
레이어와 모델에는 trainable
이라는 boolean 속성이 있습니다. 이 값은 변경할 수 있습니다.
layer.trainable
을 False
로 설정하면,
해당 레이어의 모든 가중치가 트레이닝 가능한 상태에서 트레이닝 불가능한 상태로 이동합니다.
이를 “레이어 동결(freezing)“이라고 하며, 동결된 레이어의 상태는 트레이닝 중에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fit()
을 사용한 트레이닝이든,
trainable_weights
에 의존하여 그래디언트 업데이트를 적용하는 커스텀 루프에서든 마찬가지입니다)
예시: trainable
을 False
로 설정
layer = keras.layers.Dense(3)
layer.build((None, 4)) # 가중치 생성
layer.trainable = False # 레이어 동결
print("weights:", len(layer.weights))
print("trainable_weights:", len(layer.trainable_weights))
print("non_trainable_weights:", len(layer.non_trainable_weights))
결과
weights: 2
trainable_weights: 0
non_trainable_weights: 2
트레이닝 가능한 가중치가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로 바뀌면, 해당 가중치의 값은 더 이상 트레이닝 중에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 두 개의 레이어로 모델을 만듭니다.
layer1 = keras.layers.Dense(3, activation="relu")
layer2 = keras.layers.Dense(3, activation="sigmoid")
model = keras.Sequential([keras.Input(shape=(3,)), layer1, layer2])
# 첫 번째 레이어를 동결합니다.
layer1.trainable = False
# 나중에 참조할 수 있도록 `layer1`의 가중치를 복사해둡니다.
initial_layer1_weights_values = layer1.get_weights()
# 모델을 트레이닝합니다.
model.compile(optimizer="adam", loss="mse")
model.fit(np.random.random((2, 3)), np.random.random((2, 3)))
# 트레이닝 중에 `layer1`의 가중치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final_layer1_weights_values = layer1.get_weights()
np.testing.assert_allclose(
initial_layer1_weights_values[0], final_layer1_weights_values[0]
)
np.testing.assert_allclose(
initial_layer1_weights_values[1], final_layer1_weights_values[1]
)
결과
1/1 ━━━━━━━━━━━━━━━━━━━━ 1s 766ms/step - loss: 0.0615
layer.trainable
속성과 layer.__call__()
의 인자 training
을 혼동하지 마세요.
(training
인자는 레이어가 추론 모드 또는 트레이닝 모드에서 순방향 패스를 실행할지 여부를 제어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Keras FAQ를 참고하세요.
trainable
속성의 재귀적 설정
모델이나 서브레이어를 가진 레이어에서 trainable = False
로 설정하면,
모든 하위 레이어도 트레이닝 불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예시:
inner_model = keras.Sequential(
[
keras.Input(shape=(3,)),
keras.layers.Dense(3, activation="relu"),
keras.layers.Dense(3, activation="relu"),
]
)
model = keras.Sequential(
[
keras.Input(shape=(3,)),
inner_model,
keras.layers.Dense(3, activation="sigmoid"),
]
)
model.trainable = False # 바깥 모델을 동결합니다.
assert inner_model.trainable == False # 이제 `model`의 모든 레이어가 동결되었습니다.
assert inner_model.layers[0].trainable == False # `trainable`이 재귀적으로 전파됩니다.
일반적인 전이 학습 워크플로
이제 Keras에서 전이 학습 워크플로를 구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베이스 모델을 인스턴스화하고, 사전 트레이닝된 가중치를 로드합니다.
trainable = False
로 설정하여, 베이스 모델의 모든 레이어를 동결합니다.- 베이스 모델 위에 한 개 이상의 레이어 출력을 만들어 새로운 모델을 만듭니다.
- 새로운 데이터셋으로 새 모델을 트레이닝합니다.
또한, 더 가벼운 워크플로는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습니다:
- 베이스 모델을 인스턴스화하고, 사전 트레이닝된 가중치를 로드합니다.
- 새로운 데이터셋을 통해 베이스 모델을 실행하고, 베이스 모델의 한 개 이상의 레이어 출력을 기록합니다. 이를 특성 추출이라고 합니다.
- 그 출력을 새로운, 더 작은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합니다.
이 두 번째 워크플로의 주요 장점은 데이터를 사용할 때 베이스 모델을 한 번만 실행하면 되므로, 에포크마다 베이스 모델을 실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훨씬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두 번째 워크플로의 단점은, 트레이닝 중에 새 모델의 입력 데이터를 동적으로 수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보강을 할 때는 이것이 필요합니다. 전이 학습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데이터셋이 부족하여, 처음부터 대규모 모델을 트레이닝할 수 없을 때 사용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데이터 보강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첫 번째 워크플로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다음은 Keras에서 첫 번째 워크플로가 어떻게 보이는지입니다:
먼저, 사전 트레이닝된 가중치로 기본 모델을 인스턴스화합니다.
base_model = keras.applications.Xception(
weights='imagenet', # ImageNet에서 사전 트레이닝된 가중치 로드.
input_shape=(150, 150, 3),
include_top=False) # ImageNet 분류기를 상단에 포함하지 않음.
그런 다음, 베이스 모델을 동결합니다.
base_model.trainable = False
상단에 새로운 모델을 생성합니다.
inputs = keras.Input(shape=(150, 150, 3))
# 여기서 베이스 모델이 추론 모드로 실행되도록, `training=False`를 전달합니다.
# 이는 미세 조정을 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이 부분은 이후에 다룰 예정입니다.
x = base_model(inputs, training=False)
# `base_model.output_shape[1:]` 형태의 특성을 벡터로 변환합니다.
x = keras.layers.GlobalAveragePooling2D()(x)
# 단일 유닛을 가진 Dense 분류기 (이진 분류)
outputs = keras.layers.Dense(1)(x)
model = keras.Model(inputs, outputs)
새로운 데이터로 모델을 트레이닝합니다.
model.compile(optimizer=keras.optimizers.Adam(),
loss=keras.losses.BinaryCrossentropy(from_logits=True),
metrics=[keras.metrics.BinaryAccuracy()])
model.fit(new_dataset, epochs=20, callbacks=..., validation_data=...)
미세 조정
모델이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수렴한 후, 베이스 모델의 전체 또는 일부를 동결 해제하고, 매우 낮은 학습률로 전체 모델을 엔드투엔드로 다시 트레이닝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선택적인 마지막 단계로, 점진적인 개선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적합이 빠르게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모델의 동결된 레이어가 수렴된 후에만 이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작위로 초기화된 트레이닝 가능한 레이어와 사전 트레이닝된 특성을 보유한 트레이닝 가능한 레이어를 섞으면, 무작위로 초기화된 레이어가 트레이닝 중에 매우 큰 그래디언트 업데이트를 유발해, 사전 트레이닝된 특성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단계에서 매우 낮은 학습률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첫 번째 라운드의 트레이닝보다 훨씬 큰 모델을,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데이터셋으로 트레이닝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큰 가중치 업데이트를 적용하면 매우 빠르게 과적합될 위험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사전 트레이닝된 가중치를 점진적으로 재적응시키고자 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전체 베이스 모델의 미세 조정을 구현하는 방법입니다:
# 베이스 모델의 동결 해제
base_model.trainable = True
# `trainable` 속성을 변경한 후에는 모델을 다시 컴파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렇게 해야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
model.compile(optimizer=keras.optimizers.Adam(1e-5), # Very low learning rate
loss=keras.losses.BinaryCrossentropy(from_logits=True),
metrics=[keras.metrics.BinaryAccuracy()])
# 엔드투엔드로 트레이닝. 과적합이 발생하기 전에 주의해서 멈추세요!
model.fit(new_dataset, epochs=10, callbacks=..., validation_data=...)
compile()
과 trainable
에 대한 중요한 참고 사항
모델에서 compile()
을 호출하면, 그 모델의 동작이 “동결(freeze)“됩니다.
즉, 모델이 컴파일될 때의 trainable
속성 값이 이후,
다시 compile
이 호출되기 전까지 유지됩니다.
따라서, 어떤 trainable
값을 변경한 경우,
변경 사항이 반영되도록 모델에서 compile()
을 다시 호출해야 합니다.
BatchNormalization
레이어에 대한 중요한 참고 사항
많은 이미지 모델에는 BatchNormalization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레이어는 모든 면에서 특별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BatchNormalization
은 트레이닝 중에 업데이트되는 2개의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를 포함합니다. 이는 입력의 평균과 분산을 추적하는 변수들입니다.bn_layer.trainable = False
로 설정하면,BatchNormalization
레이어는 추론 모드에서 실행되며, 평균과 분산 통계를 업데이트하지 않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다른 레이어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가중치의 트레이닝 가능 여부와 추론/트레이닝 모드는 서로 독립적인 개념이지만,BatchNormalization
레이어에서는 이 둘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미세 조정을 위해
BatchNormalization
레이어가 포함된 모델을 동결 해제하는 경우, 베이스 모델을 호출할 때training=False
를 전달하여,BatchNormalization
레이어가 추론 모드에서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트레이닝 불가능한 가중치에 적용된 업데이트가 모델이 학습한 내용을 갑자기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 끝부분의 엔드투엔드 예제에서, 이 패턴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드투엔드 예시: cats vs. dogs 데이터셋에 대해 이미지 분류 모델 미세 조정
이 개념들을 더 확실히 하기 위해, 구체적인 엔드투엔드 전이 학습 및 미세 조정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ImageNet에서 사전 트레이닝된 Xception 모델을 로드한 후, Kaggle의 “cats vs. dogs” 분류 데이터셋에서 사용할 것입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먼저, TFDS를 사용하여 cats vs. dogs 데이터셋을 가져오겠습니다.
여러분이 직접 데이터셋을 가지고 있다면,
keras.utils.image_dataset_from_directory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클래스별 폴더로 나누어진 이미지 집합에서 유사한 라벨링된 데이터셋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전이 학습은 매우 작은 데이터셋을 다룰 때 가장 유용합니다. 데이터셋을 작게 유지하기 위해, 원래의 트레이닝 데이터(25,000개의 이미지) 중 40%를 트레이닝에 사용하고, 10%는 검증, 10%는 테스트에 사용할 것입니다.
tfds.disable_progress_bar()
train_ds, validation_ds, test_ds = tfds.load(
"cats_vs_dogs",
# 10%를 검증, 10%를 테스트로 예약
split=["train[:40%]", "train[40%:50%]", "train[50%:60%]"],
as_supervised=True, # 라벨 포함
)
print(f"Number of training samples: {train_ds.cardinality()}")
print(f"Number of validation samples: {validation_ds.cardinality()}")
print(f"Number of test samples: {test_ds.cardinality()}")
결과
Downloading and preparing dataset 786.68 MiB (download: 786.68 MiB, generated: Unknown size, total: 786.68 MiB) to /home/mattdangerw/tensorflow_datasets/cats_vs_dogs/4.0.0...
WARNING:absl:1738 images were corrupted and were skipped
Dataset cats_vs_dogs downloaded and prepared to /home/mattdangerw/tensorflow_datasets/cats_vs_dogs/4.0.0. Subsequent calls will reuse this data.
Number of training samples: 9305
Number of validation samples: 2326
Number of test samples: 2326
다음은 트레이닝 데이터셋에 있는 첫 9개의 이미지입니다. 보시다시피, 모두 크기가 다릅니다.
plt.figure(figsize=(10, 10))
for i, (image, label) in enumerate(train_ds.take(9)):
ax = plt.subplot(3, 3, i + 1)
plt.imshow(image)
plt.title(int(label))
plt.axis("off")
또한, 라벨 1은 “개"이고 라벨 0은 “고양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 표준화
원본 이미지들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각 픽셀은 0에서 255 사이의 3개의 정수 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RGB 값) 이는 신경망에 적합한 입력 형태가 아닙니다. 우리는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 고정된 이미지 크기로 표준화합니다. 150x150을 선택합니다.
- 픽셀 값을 -1에서 1 사이로 정규화합니다. 이를 위해
Normalization
레이어를 모델의 일부로 사용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미 전처리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모델보다는, raw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모델이 전처리된 데이터를 기대할 경우, 모델을 다른 환경(예: 웹 브라우저, 모바일 앱)에서 사용할 때마다, 동일한 전처리 파이프라인을 다시 구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매우 까다로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델에 입력하기 전에 가능한 한 적은 양의 전처리만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에서 이미지 크기 조정을 수행할 것입니다. (딥러닝 신경망은 연속적인 데이터 배치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입력 값 스케일링은 모델을 만들 때 모델의 일부로 수행할 것입니다.
이미지를 150x150 크기로 조정해봅시다:
resize_fn = keras.layers.Resizing(150, 150)
train_ds = train_ds.map(lambda x, y: (resize_fn(x), y))
validation_ds = validation_ds.map(lambda x, y: (resize_fn(x), y))
test_ds = test_ds.map(lambda x, y: (resize_fn(x), y))
랜덤 데이터 보강 사용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셋이 없을 때, 트레이닝 이미지에 랜덤하지만 현실적인 변환을 적용하여, 인위적으로 샘플 다양성을 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랜덤한 가로 뒤집기나 작은 각도의 랜덤 회전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모델이 트레이닝 데이터의 다양한 측면에 노출되면서 과적합을 늦출 수 있습니다.
augmentation_layers = [
layers.RandomFlip("horizontal"),
layers.RandomRotation(0.1),
]
def data_augmentation(x):
for layer in augmentation_layers:
x = layer(x)
return x
train_ds = train_ds.map(lambda x, y: (data_augmentation(x), y))
데이터를 배치로 처리하고, 로딩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prefetching을 사용해봅시다.
from tensorflow import data as tf_data
batch_size = 64
train_ds = train_ds.batch(batch_size).prefetch(tf_data.AUTOTUNE).cache()
validation_ds = validation_ds.batch(batch_size).prefetch(tf_data.AUTOTUNE).cache()
test_ds = test_ds.batch(batch_size).prefetch(tf_data.AUTOTUNE).cache()
첫 번째 배치의 첫 번째 이미지가 다양한 랜덤 변환을 거친 후 어떻게 보이는지 시각화해봅시다:
for images, labels in train_ds.take(1):
plt.figure(figsize=(10, 10))
first_image = images[0]
for i in range(9):
ax = plt.subplot(3, 3, i + 1)
augmented_image = data_augmentation(np.expand_dims(first_image, 0))
plt.imshow(np.array(augmented_image[0]).astype("int32"))
plt.title(int(labels[0]))
plt.axis("off")
모델 빌드
이제 이전에 설명한 설계도를 따르는 모델을 빌드해봅시다.
참고 사항:
- 입력 값을
[0, 255]
범위에서[-1, 1]
범위로 스케일링하기 위해,Rescaling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 정규화를 위해, 분류 레이어 앞에
Dropout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 베이스 모델을 호출할 때
training=False
를 전달하여, 배치 정규화 통계가 업데이트되지 않도록, 추론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해야 합니다. 미세 조정을 위해 베이스 모델을 동결 해제한 후에도, 이 설정을 유지합니다.
base_model = keras.applications.Xception(
weights="imagenet", # ImageNet에서 사전 트레이닝된 가중치 로드.
input_shape=(150, 150, 3),
include_top=False,
) # 상단에 ImageNet 분류기를 포함하지 않음.
# `base_model` 동결
base_model.trainable = False
# 상단에 새 모델 생성
inputs = keras.Input(shape=(150, 150, 3))
# 사전 트레이닝된 Xception 가중치는 입력이 (0, 255) 범위에서
# (-1., +1.) 범위로 스케일링되어야 합니다.
# Rescaling 레이어의 출력은: `(inputs * scale) + offset`입니다.
scale_layer = keras.layers.Rescaling(scale=1 / 127.5, offset=-1)
x = scale_layer(inputs)
# 베이스 모델에 배치 정규화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미세 조정을 위해 베이스 모델을 동결 해제할 때도 추론 모드에서 유지되도록
# base_model이 여기서 추론 모드로 실행되게 합니다.
x = base_model(x, training=False)
x = keras.layers.GlobalAveragePooling2D()(x)
x = keras.layers.Dropout(0.2)(x) # Dropout으로 정규화
outputs = keras.layers.Dense(1)(x)
model = keras.Model(inputs, outputs)
model.summary(show_trainable=True)
결과
Downloading data from https://storage.googleapis.com/tensorflow/keras-applications/xception/xception_weights_tf_dim_ordering_tf_kernels_notop.h5
83683744/83683744 ━━━━━━━━━━━━━━━━━━━━ 0s 0us/step
Model: "functional_4"
┏━━━━━━━━━━━━━━━━━━━━━━━━━━━━━┳━━━━━━━━━━━━━━━━━━━━━━━━━━┳━━━━━━━━━┳━━━━━━━┓
┃ Layer (type) ┃ Output Shape ┃ Param # ┃ Trai… ┃
┡━━━━━━━━━━━━━━━━━━━━━━━━━━━━━╇━━━━━━━━━━━━━━━━━━━━━━━━━━╇━━━━━━━━━╇━━━━━━━┩
│ input_layer_4 (InputLayer) │ (None, 150, 150, 3) │ 0 │ - │
├─────────────────────────────┼──────────────────────────┼─────────┼───────┤
│ rescaling (Rescaling) │ (None, 150, 150, 3) │ 0 │ - │
├─────────────────────────────┼──────────────────────────┼─────────┼───────┤
│ xception (Functional) │ (None, 5, 5, 2048) │ 20,861… │ N │
├─────────────────────────────┼──────────────────────────┼─────────┼───────┤
│ global_average_pooling2d │ (None, 2048) │ 0 │ - │
│ (GlobalAveragePooling2D) │ │ │ │
├─────────────────────────────┼──────────────────────────┼─────────┼───────┤
│ dropout (Dropout) │ (None, 2048) │ 0 │ - │
├─────────────────────────────┼──────────────────────────┼─────────┼───────┤
│ dense_7 (Dense) │ (None, 1) │ 2,049 │ Y │
└─────────────────────────────┴──────────────────────────┴─────────┴───────┘
Total params: 20,863,529 (79.59 MB)
Trainable params: 2,049 (8.00 KB)
Non-trainable params: 20,861,480 (79.58 MB)
상단 레이어 트레이닝
model.compile(
optimizer=keras.optimizers.Adam(),
loss=keras.losses.BinaryCrossentropy(from_logits=True),
metrics=[keras.metrics.BinaryAccuracy()],
)
epochs = 2
print("Fitting the top layer of the model")
model.fit(train_ds, epochs=epochs, validation_data=validation_ds)
결과
Fitting the top layer of the model
Epoch 1/2
78/146 ━━━━━━━━━━[37m━━━━━━━━━━ 15s 226ms/step - binary_accuracy: 0.7995 - loss: 0.4088
Corrupt JPEG data: 65 extraneous bytes before marker 0xd9
136/146 ━━━━━━━━━━━━━━━━━━[37m━━ 2s 231ms/step - binary_accuracy: 0.8430 - loss: 0.3298
Corrupt JPEG data: 239 extraneous bytes before marker 0xd9
143/146 ━━━━━━━━━━━━━━━━━━━[37m━ 0s 231ms/step - binary_accuracy: 0.8464 - loss: 0.3235
Corrupt JPEG data: 1153 extraneous bytes before marker 0xd9
144/146 ━━━━━━━━━━━━━━━━━━━[37m━ 0s 231ms/step - binary_accuracy: 0.8468 - loss: 0.3226
Corrupt JPEG data: 228 extraneous bytes before marker 0xd9
146/146 ━━━━━━━━━━━━━━━━━━━━ 0s 260ms/step - binary_accuracy: 0.8478 - loss: 0.3209
Corrupt JPEG data: 2226 extraneous bytes before marker 0xd9
146/146 ━━━━━━━━━━━━━━━━━━━━ 54s 317ms/step - binary_accuracy: 0.8482 - loss: 0.3200 - val_binary_accuracy: 0.9667 - val_loss: 0.0877
Epoch 2/2
146/146 ━━━━━━━━━━━━━━━━━━━━ 7s 51ms/step - binary_accuracy: 0.9483 - loss: 0.1232 - val_binary_accuracy: 0.9705 - val_loss: 0.0786
<keras.src.callbacks.history.History at 0x7fc8b7f1db70>
전체 모델의 미세 조정 단계
마지막으로, 베이스 모델의 동결을 해제하고, 낮은 학습률로 엔드투엔드로 전체 모델을 트레이닝합니다.
중요한 점은, 베이스 모델이 트레이닝 가능해지더라도,
모델을 빌드할 때 training=False
를 전달했기 때문에 여전히 추론 모드로 실행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내부의 배치 정규화 레이어들이 배치 통계를 업데이트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업데이트된다면, 지금까지 모델이 학습한 표현에 큰 혼란을 일으킬 것입니다.
# base_model의 동결 해제.
# 모델을 호출할 때 `training=False`를 전달했으므로
# 여전히 추론 모드로 실행됩니다.
# 즉, 배치 정규화 레이어는 배치 통계를
# 업데이트하지 않으며, 이는 지금까지의 트레이닝을 무효화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base_model.trainable = True
model.summary(show_trainable=True)
model.compile(
optimizer=keras.optimizers.Adam(1e-5), # Low learning rate
loss=keras.losses.BinaryCrossentropy(from_logits=True),
metrics=[keras.metrics.BinaryAccuracy()],
)
epochs = 1
print("Fitting the end-to-end model")
model.fit(train_ds, epochs=epochs, validation_data=validation_ds)
결과
Model: "functional_4"
┏━━━━━━━━━━━━━━━━━━━━━━━━━━━━━┳━━━━━━━━━━━━━━━━━━━━━━━━━━┳━━━━━━━━━┳━━━━━━━┓
┃ Layer (type) ┃ Output Shape ┃ Param # ┃ Trai… ┃
┡━━━━━━━━━━━━━━━━━━━━━━━━━━━━━╇━━━━━━━━━━━━━━━━━━━━━━━━━━╇━━━━━━━━━╇━━━━━━━┩
│ input_layer_4 (InputLayer) │ (None, 150, 150, 3) │ 0 │ - │
├─────────────────────────────┼──────────────────────────┼─────────┼───────┤
│ rescaling (Rescaling) │ (None, 150, 150, 3) │ 0 │ - │
├─────────────────────────────┼──────────────────────────┼─────────┼───────┤
│ xception (Functional) │ (None, 5, 5, 2048) │ 20,861… │ Y │
├─────────────────────────────┼──────────────────────────┼─────────┼───────┤
│ global_average_pooling2d │ (None, 2048) │ 0 │ - │
│ (GlobalAveragePooling2D) │ │ │ │
├─────────────────────────────┼──────────────────────────┼─────────┼───────┤
│ dropout (Dropout) │ (None, 2048) │ 0 │ - │
├─────────────────────────────┼──────────────────────────┼─────────┼───────┤
│ dense_7 (Dense) │ (None, 1) │ 2,049 │ Y │
└─────────────────────────────┴──────────────────────────┴─────────┴───────┘
Total params: 20,867,629 (79.60 MB)
Trainable params: 20,809,001 (79.38 MB)
Non-trainable params: 54,528 (213.00 KB)
Optimizer params: 4,100 (16.02 KB)
Fitting the end-to-end model
146/146 ━━━━━━━━━━━━━━━━━━━━ 75s 327ms/step - binary_accuracy: 0.8487 - loss: 0.3760 - val_binary_accuracy: 0.9494 - val_loss: 0.1160
<keras.src.callbacks.history.History at 0x7fcd1c755090>
10 에포크 후, 미세 조정을 통해 성능이 상당히 개선되었습니다. 이제 테스트 데이터셋에서 모델을 평가해봅시다:
print("Test dataset evaluation")
model.evaluate(test_ds)
결과
Test dataset evaluation
11/37 ━━━━━[37m━━━━━━━━━━━━━━━ 1s 52ms/step - binary_accuracy: 0.9407 - loss: 0.1155
Corrupt JPEG data: 99 extraneous bytes before marker 0xd9
37/37 ━━━━━━━━━━━━━━━━━━━━ 2s 47ms/step - binary_accuracy: 0.9427 - loss: 0.1259
[0.13755160570144653, 0.941300630569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