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iver로 이미지 분류
- 원본 링크 : https://keras.io/examples/vision/perceiver_image_classification/
- 최종 확인 : 2024-11-20
저자 : Khalid Salama
생성일 : 2021/04/30
최종 편집일 : 2023/12/30
설명 : 이미지 분류를 위한 Perceiver 모델 구현하기.
소개
이 예는 이미지 분류를 위해 Andrew Jaegle et al.이 개발한 Perceiver: 반복적 어텐션이 있는 일반적 Perception(Perceiver: General Perception with Iterative Attention) 모델을 구현하고, CIFAR-100 데이터 세트에 대해 이를 시연합니다.
Perceiver 모델은 비대칭 어텐션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입력을 반복적으로 증류하여 타이트한 잠재 병목 현상을 해결함으로써, 매우 큰 입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입력 데이터 배열(예: 이미지)에 M
개의 요소(즉, 패치)가 있고
여기서 M
이 크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표준 Transformer 모델에서는,
M
요소에 대해 셀프 어텐션 연산이 수행됩니다. 이 연산의 복잡도는 O(M^2)
입니다.
그러나, Perceiver 모델은 N << M
인 N
크기의 요소의 잠재 배열을 생성하고,
두 가지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합니다:
- 잠재 배열과 데이터 배열 사이의 교차 어텐션 트랜스포머(Cross-attention Transformer) - 이 작업의 복잡도는
O(M.N)
입니다. - 잠재 배열에 대한 셀프 어텐션 트랜스포머(Self-attention Transformer) - 이 작업의 복잡도는
O(N^2)
입니다.
이 예제에는 Keras 3.0 이상이 필요합니다.
셋업
import keras
from keras import layers, activations, ops
데이터 준비
num_classes = 100
input_shape = (32, 32, 3)
(x_train, y_train), (x_test, y_test) = keras.datasets.cifar100.load_data()
print(f"x_train shape: {x_train.shape} - y_train shape: {y_train.shape}")
print(f"x_test shape: {x_test.shape} - y_test shape: {y_test.shape}")
결과
x_train shape: (50000, 32, 32, 3) - y_train shape: (50000, 1)
x_test shape: (10000, 32, 32, 3) - y_test shape: (10000, 1)
하이퍼파라미터 구성
learning_rate = 0.001
weight_decay = 0.0001
batch_size = 64
num_epochs = 2 # 실제로는 50 에포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dropout_rate = 0.2
image_size = 64 #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이 크기로 조정합니다.
patch_size = 2 # 입력 이미지에서 추출할 패치의 크기입니다.
num_patches = (image_size // patch_size) ** 2 # 데이터 배열의 크기입니다.
latent_dim = 256 # 잠재 배열의 크기입니다.
projection_dim = 256 # 데이터 및 잠재 배열에 각 요소의 임베딩 크기입니다.
num_heads = 8 # 트랜스포머 헤드 수입니다.
ffn_units = [
projection_dim,
projection_dim,
] # 트랜스포머 피드포워드 네트워크의 크기.
num_transformer_blocks = 4
num_iterations = 2 # 크로스 어텐션 및 트랜스포머 모듈의 반복.
classifier_units = [
projection_dim,
num_classes,
] # 최종 분류기의 Feedforward 네트워크 크기입니다.
print(f"Image size: {image_size} X {image_size} = {image_size ** 2}")
print(f"Patch size: {patch_size} X {patch_size} = {patch_size ** 2} ")
print(f"Patches per image: {num_patches}")
print(f"Elements per patch (3 channels): {(patch_size ** 2) * 3}")
print(f"Latent array shape: {latent_dim} X {projection_dim}")
print(f"Data array shape: {num_patches} X {projection_dim}")
결과
Image size: 64 X 64 = 4096
Patch size: 2 X 2 = 4
Patches per image: 1024
Elements per patch (3 channels): 12
Latent array shape: 256 X 256
Data array shape: 1024 X 256
각 픽셀을 데이터 배열의 개별 입력으로 사용하려면, patch_size
를 1로 설정하세요.
데이터 보강 사용
data_augmentation = keras.Sequential(
[
layers.Normalization(),
layers.Resizing(image_size, image_size),
layers.RandomFlip("horizontal"),
layers.RandomZoom(height_factor=0.2, width_factor=0.2),
],
name="data_augmentation",
)
# 정규화를 위해 트레이닝 데이터의 평균과 분산을 계산합니다.
data_augmentation.layers[0].adapt(x_train)
피드포워드 네트워크(FFN, Feedforward network) 구현
def create_ffn(hidden_units, dropout_rate):
ffn_layers = []
for units in hidden_units[:-1]:
ffn_layers.append(layers.Dense(units, activation=activations.gelu))
ffn_layers.append(layers.Dense(units=hidden_units[-1]))
ffn_layers.append(layers.Dropout(dropout_rate))
ffn = keras.Sequential(ffn_layers)
return ffn
레이어로 패치 생성 구현
class Patches(layers.Layer):
def __init__(self, patch_size):
super().__init__()
self.patch_size = patch_size
def call(self, images):
batch_size = ops.shape(images)[0]
patches = ops.image.extract_patches(
image=images,
size=(self.patch_size, self.patch_size),
strides=(self.patch_size, self.patch_size),
dilation_rate=1,
padding="valid",
)
patch_dims = patches.shape[-1]
patches = ops.reshape(patches, [batch_size, -1, patch_dims])
return patches
패치 인코딩 레이어 구현
PatchEncoder
레이어는 패치를 latent_dim
크기의 벡터로 프로젝션하여 선형적으로 변환합니다.
또한, 프로젝션된 벡터에 학습 가능한 위치 임베딩을 추가합니다.
원본 Perceiver 논문에서는 Fourier 특성 위치 인코딩을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class PatchEncoder(layers.Layer):
def __init__(self, num_patches, projection_dim):
super().__init__()
self.num_patches = num_patches
self.projection = layers.Dense(units=projection_dim)
self.position_embedding = layers.Embedding(
input_dim=num_patches, output_dim=projection_dim
)
def call(self, patches):
positions = ops.arange(start=0, stop=self.num_patches, step=1)
encoded = self.projection(patches) + self.position_embedding(positions)
return encoded
Perceiver 모델 빌드
Perceiver는 크로스 어텐션 모듈과 셀프 어텐션이 있는 표준 트랜스포머의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됩니다.
크로스 어텐션 모듈
크로스 어텐션은 (latent_dim, projection_dim)
잠재 배열과
(data_dim, projection_dim)
데이터 배열을 입력으로 받아,
(latent_dim, projection_dim)
잠재 배열을 출력으로 생성합니다.
크로스 어텐션을 적용하기 위해, query
벡터는 잠재 배열에서 생성되고,
key
및 value
벡터는 인코딩된 이미지에서 생성됩니다.
이 예제에서 데이터 배열은 이미지이며,
여기서 data_dim
은 num_patches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def create_cross_attention_module(
latent_dim, data_dim, projection_dim, ffn_units, dropout_rate
):
inputs = {
# 모양 [1, latent_dim, projection_dim]의 입력으로 잠재 배열을 받습니다.
"latent_array": layers.Input(
shape=(latent_dim, projection_dim), name="latent_array"
),
# data_array(인코딩된 이미지)을 모양 [batch_size, data_dim, projection_dim]의 입력으로 받습니다.
"data_array": layers.Input(shape=(data_dim, projection_dim), name="data_array"),
}
# 입력에 레이어 norm 적용
latent_array = layers.LayerNormalization(epsilon=1e-6)(inputs["latent_array"])
data_array = layers.LayerNormalization(epsilon=1e-6)(inputs["data_array"])
# 쿼리 텐서 생성: [1, latent_dim, projection_dim].
query = layers.Dense(units=projection_dim)(latent_array)
# 키 텐서 생성: [batch_size, data_dim, projection_dim].
key = layers.Dense(units=projection_dim)(data_array)
# 값 텐서 생성: [batch_size, data_dim, projection_dim].
value = layers.Dense(units=projection_dim)(data_array)
# 크로스 어텐션 출력 생성: [batch_size, latent_dim, projection_dim].
attention_output = layers.Attention(use_scale=True, dropout=0.1)(
[query, key, value], return_attention_scores=False
)
# 스킵 연결 1.
attention_output = layers.Add()([attention_output, latent_array])
# 레이어 norm 적용.
attention_output = layers.LayerNormalization(epsilon=1e-6)(attention_output)
# Feedforward 네트워크 적용.
ffn = create_ffn(hidden_units=ffn_units, dropout_rate=dropout_rate)
outputs = ffn(attention_output)
# 스킵 연결 2.
outputs = layers.Add()([outputs, attention_output])
# Keras 모델 생성.
model = keras.Model(inputs=inputs, outputs=outputs)
return model
트랜스포머 모듈
트랜스포머는 크로스 어텐션 모듈의 출력 잠재 벡터를 입력으로 예상하고,
latent_dim
요소에 멀티 헤드 셀프 어텐션을 적용한 다음,
피드포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또다른 (latent_dim, projection_dim)
잠재 배열을 생성합니다.
def create_transformer_module(
latent_dim,
projection_dim,
num_heads,
num_transformer_blocks,
ffn_units,
dropout_rate,
):
# input_shape: [1, latent_dim, projection_dim]
inputs = layers.Input(shape=(latent_dim, projection_dim))
x0 = inputs
# 트랜스포머 블록의 여러 레이어를 생성합니다.
for _ in range(num_transformer_blocks):
# 레이어 정규화 1 적용.
x1 = layers.LayerNormalization(epsilon=1e-6)(x0)
# 멀티 헤드 셀프 어텐션 레이어를 만듭니다.
attention_output = layers.MultiHeadAttention(
num_heads=num_heads, key_dim=projection_dim, dropout=0.1
)(x1, x1)
# 스킵 연결 1.
x2 = layers.Add()([attention_output, x0])
# 레이어 정규화 2 적용.
x3 = layers.LayerNormalization(epsilon=1e-6)(x2)
# Feedforward 네트워크 적용.
ffn = create_ffn(hidden_units=ffn_units, dropout_rate=dropout_rate)
x3 = ffn(x3)
# 스킵 연결 2.
x0 = layers.Add()([x3, x2])
# Keras 모델 생성.
model = keras.Model(inputs=inputs, outputs=x0)
return model
Perceiver 모델
Perceiver 모델은 (공유 가중치와 스킵 연결을 통해) 크로스 어텐션과
트랜스포머 모듈 num_iterations
번 반복하여,
잠재 배열이 필요에 따라 입력 이미지에서 정보를 반복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class Perceiver(keras.Model):
def __init__(
self,
patch_size,
data_dim,
latent_dim,
projection_dim,
num_heads,
num_transformer_blocks,
ffn_units,
dropout_rate,
num_iterations,
classifier_units,
):
super().__init__()
self.latent_dim = latent_dim
self.data_dim = data_dim
self.patch_size = patch_size
self.projection_dim = projection_dim
self.num_heads = num_heads
self.num_transformer_blocks = num_transformer_blocks
self.ffn_units = ffn_units
self.dropout_rate = dropout_rate
self.num_iterations = num_iterations
self.classifier_units = classifier_units
def build(self, input_shape):
# 잠재 배열 생성.
self.latent_array = self.add_weight(
shape=(self.latent_dim, self.projection_dim),
initializer="random_normal",
trainable=True,
)
# module.war 패치 생성
self.patch_encoder = PatchEncoder(self.data_dim, self.projection_dim)
# 크로스 어텐션 모듈을 생성.
self.cross_attention = create_cross_attention_module(
self.latent_dim,
self.data_dim,
self.projection_dim,
self.ffn_units,
self.dropout_rate,
)
# 트랜스포머 모듈 생성.
self.transformer = create_transformer_module(
self.latent_dim,
self.projection_dim,
self.num_heads,
self.num_transformer_blocks,
self.ffn_units,
self.dropout_rate,
)
# 글로벌 평균 풀링 레이어 생성.
self.global_average_pooling = layers.GlobalAveragePooling1D()
# 분류 헤드 생성.
self.classification_head = create_ffn(
hidden_units=self.classifier_units, dropout_rate=self.dropout_rate
)
super().build(input_shape)
def call(self, inputs):
# 데이터 보강.
augmented = data_augmentation(inputs)
# 패치 생성.
patches = self.patcher(augmented)
# 패치 인코딩.
encoded_patches = self.patch_encoder(patches)
# 크로스 어텐션 입력 준비.
cross_attention_inputs = {
"latent_array": ops.expand_dims(self.latent_array, 0),
"data_array": encoded_patches,
}
# 크로스 어텐션과 트랜스포머 모듈을 반복적으로 적용합니다.
for _ in range(self.num_iterations):
# 잠재 배열에서 데이터 배열로 크로스 어텐션을 적용합니다.
latent_array = self.cross_attention(cross_attention_inputs)
# 잠재 배열에 셀프 어텐션 트랜스포머를 적용합니다.
latent_array = self.transformer(latent_array)
# 다음 반복의 잠재 배열을 설정합니다.
cross_attention_inputs["latent_array"] = latent_array
# 글로벌 평균 풀링을 적용하여, [batch_size, projection_dim] repesentation 텐서를 생성합니다.
representation = self.global_average_pooling(latent_array)
# logits을 생성.
logits = self.classification_head(representation)
return logits
모드 컴파일, 트레이닝 및 평가하기
def run_experiment(model):
# LAMB 옵티마이저 대신 가중치 감쇠가 있는 ADAM을 생성합니다. (LAMB는 아직 지원되지 않습니다.)
optimizer = keras.optimizers.Adam(learning_rate=learning_rate)
# 모델 컴파일.
model.compile(
optimizer=optimizer,
loss=keras.losses.SparseCategoricalCrossentropy(from_logits=True),
metrics=[
keras.metrics.SparseCategoricalAccuracy(name="acc"),
keras.metrics.SparseTopKCategoricalAccuracy(5, name="top5-acc"),
],
)
# 학습률 스케줄러 콜백을 생성합니다.
reduce_lr = keras.callbacks.ReduceLROnPlateau(
monitor="val_loss", factor=0.2, patience=3
)
# 조기 종료 콜백을 만듭니다.
early_stopping = keras.callbacks.EarlyStopping(
monitor="val_loss", patience=15, restore_best_weights=True
)
# 모델 Fit.
history = model.fit(
x=x_train,
y=y_train,
batch_size=batch_size,
epochs=num_epochs,
validation_split=0.1,
callbacks=[early_stopping, reduce_lr],
)
_, accuracy, top_5_accuracy = model.evaluate(x_test, y_test)
print(f"Test accuracy: {round(accuracy * 100, 2)}%")
print(f"Test top 5 accuracy: {round(top_5_accuracy * 100, 2)}%")
# 학습 곡선을 그리기 위해 히스토리를 반환합니다.
return history
V100 GPU의 현재 설정으로 perceiver 모델을 트레이닝하는데 약 200초가 걸립니다.
perceiver_classifier = Perceiver(
patch_size,
num_patches,
latent_dim,
projection_dim,
num_heads,
num_transformer_blocks,
ffn_units,
dropout_rate,
num_iterations,
classifier_units,
)
history = run_experiment(perceiver_classifier)
결과
Test accuracy: 0.91%
Test top 5 accuracy: 5.2%
40 에포크가 지난 후, Perceiver 모델은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약 53%의 정확도와 81%의 top-5 정확도를 달성했습니다.
Perceiver 논문의 절제 연구에서 언급했듯이, 잠재 배열의 크기를 늘리고, 잠재 배열과 데이터 배열 요소의 (프로젝션) 차원을 늘리고, 트랜스포머 모듈의 블록 수를 늘리고, 크로스 어텐션과 잠재 트랜스포머 모듈을 적용하는 반복 횟수를 늘리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늘리고 다른 패치 크기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erceiver는 모델 크기를 늘리면 이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델이 커질수록 효율적으로 트레이닝하려면 더 큰 가속기가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Perceiver 논문에서 실험을 실행하기 위해, 32개의 TPU 코어를 사용한 이유입니다.